친환경농업직불금이 2025년 단가가 인상되어 지급이 됩니다. 친환경농업 직불금이 무엇이고, 어떻게 지급신청을 하는지, 신청기간과 지급금액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친환경농업직불금
친환경농업직불금이란, 친환경 농가의 초기 소득 감소분과 생산비 차이를 보전해주기 위하여 친환경 인증을 받고 직불금 사업기간에 친환경농업을 충실히 이행한 농업인에게 친환경 인증단계 및 품목에 따라 직불금을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친환경농업 확산을 위해 도입된 직불금제도 중의 하나입니다.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을 받기 위해선 농업경영체등록정보를 등록한 농업인, 임업인, 법인으로서 친환경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참고로, 친환경인증은 친환경농업 사업기간(전년 11월 1일부터 금년 10월 31일까지) 인증이 유효한 것이어야 합니다.
2025년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지급금액
2025년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금액은 7년만에 단가가 인상되어 친환경 농가의 소득지원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논으로 이용되는 친환경인증 필지의 단가는 헥타르당 25만원 인상되었고, 유기지속 단가는 품목별 유기직불 단가의 60%로 상향되어 유기전환기의 단가를 기존 무농약 단가에서 유기단가를 받을 수 있도록 개편이 되었습니다.
또한, 친환경 농가의 집단화, 규모화를 촉진하기 위해 농가당 지급 상한면적도 기존 5헥타르에서 30헥타르로 확대가 되었습니다.
<2025년 친환경농업직불금 헥타르당 지급단가>
구분 | 유기 | 무농약 | 유기지속 | |
(유기전환기) | (유기전환기) | |||
논 | 벼·연근·미나리 | 95만원 | 75만원 | 57만원 |
밭 | 채소·특작·기타 | 130만원 | 110만원 | 78만원 |
과수 | 140만원 | 120만원 | 84만원 |
-지급한도 : 0.1 ~ 30헥타르 / 농가
-지급기한 : 무농약 3년, 유기 5년(무농약 3년 포함)
- 무농약 인증 농가중 유기전환기에 있는 경우 유기 또는 유기지속 단가로 적용
2025년 친환경농업직불금 신청기간
2025년도 친환경농업직불금 신청은 대상 농지 소재지의 읍,면,동사무소에서 신청을 하시면 되는데, 신청기간은 3월 ~ 4월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5년 신규 친환경 인증 벼 재배 필지에 대해선 8월~9월에 추가 접수)
3~4월에 친환경농업직불금 사업신청을 접수하면 지원자격요건 등을 확인하여 5월에 직불금대상자로 선정이 되는데,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고 직불금 사업기간(24.11.1~25.10.31)중 친환경농업을 충실히 이행한 농업인에게는 11월경 직불금 지급 대상자로 최종 선정이 됩니다.
- 벼 품목
사업 신청기간(3~4월 또는 추가접수 8~9월)에 신청 → 10월에 지급대상자 선정 → 이행점검 마감일(10.31)까지 벼 품목에 대한 유효한 친환경인증서 제출시 → 지급대상으로 확정 당해연도 직불금 지급
- 벼 이외 품목
사업 신청기간(3~4월) 신청 → 5.10까지 유효한 친환경인증서 제출 → 이행점검기간(5~10월) 중 친환경농업 충실히 이행한 경우 지급대상으로 확정, 당해연도 직불금 지급
댓글